Jump to content

User:김영훈80/sandbox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섬네일|287x287픽셀|터키의 국기


한국 전쟁 참전 터키군은 1950년 10월 17일부터 1개 여단 규모로 한국 전쟁에 참여하였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터키군은 전사자 724명, 부상자 2,493명, 실종 175명, 포로 234명의 피해를 입었다. 1950년 10월 19일 부산에 도착하면서 참전하여 1971년 6월 27일 최종 부대가 귀국하면서 마무리 되었다. 총 참전인원은 14,936명이며, 주요 전투로 군우리 전투(1950.11.26~1950.11.31), 김량장 및 151고지 전투(1951.1.25~1951.1.27), 네바다전초전(1953.5.28~1953.5.29) 등이 있다.[1]

터키군 참전 배경[edit]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터키의 상황[edit]

Map

터키는 유럽과 아시아가 만나는 길목에 위치한 나라로,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일시적이지만 어려움을 겪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해, 터키는 전쟁에서 고립되어 있다는 가장 중요한 문제가 있었고, 소련의 위협 가능성과 영창 팽창 시도에 맞서 다른 강대국의 도움이 필요했다. 그 근거로 소련 정부는 1939년 모스크바를 방문한 터키사절단을 통해 터키에 대한 그들의 바람을 전한 바 있었다.[2]

터키는 1945년 2월 22일 대독일 선전을 포고함으로써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한 상태에서 벗어나 친서방 정책으로 전환하였다.[3] 같은 해인 1945년 6월, 몰로토프(Molotov) 소련 외무부 장관은 당시 모스크바 주재 터키 대사였던 셀림 사르페르(Selim Sarper)와의 면담에서 터키가 소련과 합의하고 싶다면 소련의 요구를 수락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 요구는 다음과 같다.[4]

  1. 1921년 3월 16일 체결된 모스크바 협정에 따른 터키-소련 국경을 소련에 유리하게 재정비한다.
  2. 터키와 소련이 공동으로 보스포루스 해협을 지키고, 이를 위해 터키는 소련 측에 보스포루스 해협에 있는 해군 기지 및 육군 기지를 제공한다.
  3. 변경 항목들은 보스포루스 해협 통치를 규명한 몽트뢰 조약에 의거하여 터키와 소련 간 상호 합의에 의한다.

터키 정부는 국경 안전과 국가의 민주 통치를 위해선 터키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가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고, 터키에 새 정부가 구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한다.[5]

국제적 이유[edit]

섬네일|411x411px|2010년 브뤼셀에 있는 NATO 본부에서 NATO 국방장관과 외무장관 회담 터키는 소련의 위협과 영토 팽창 야욕에 놓인 상황이였고, 자주적인 통치를 위해선 강대국의 도움이 필요했다. 터키는 공화당에 반대하고 미국과의 긴밀한 유대를 확립하는 것이 영토 보전을 위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결론지었고, 소련의 정치적, 군사적 위협에 대처해야 했다. 한국전쟁 참전은 미국에 대한 터키의 전폭적 지지를 증명하고 터키의 이념적 선호를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또한, NATO에 가입하려는 터키의 의지는 한국전 관련 UN 안전보장이사회의 회원국 소집에 응하여 5,500명의 병력을 지원하는 결정을 내리게 했다. 당시 멘데레스(Menderes) 터키 총리는 "터키의 NATO 가입에 가교 역할이 될 것이다."라고 한국전쟁 참전에 관해 언급했다. 터키 정부는 한국전 파병 결정이 터키의 NATO 가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논문 1]

오로지 강대국의 도움을 받기 위한 NATO 가입만이 터키군의 참전 배경이 되었던 것은 아니다. 반공정책을 확립한 터키의 입장에선, 아무리 먼 거리에 있는 나라의 전쟁이라도 제3차 세계대전으로 확장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터키는 이 전쟁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독일에서 발발했고 그 이유와 정치적 상황은 한국전이 발발한 시기와는 달랐다. 한국전은 이념 전쟁이며 터키가 공산주의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은 명백했고[논문 2], 한국전에 참전함으로써 한국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했다. 터키는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따른 지원의 내용을 검토하는 동안 망설임 없이 상당수의 병력을 보내기로 결정한 것이다. 사실, 터키는 미국 다음으로 한국 전쟁에 군대를 파병하기로 결정한 두 번째 국가였다.[논문 3]

국내적 이유[edit]

섬네일|240x240픽셀|아타튀르크(Atatürk Kemal) 대통령 재임 시절의 모습 현대 터키의 설립자인 무스타마 케말 아타튀르크가 반복적으로 선언한 "조국에서의 평화, 세계의 평화"라는 원칙도 강하게 작용했다. 세계평화의 확립은 가정의 평화를 위한 필요조건으로 인식되었고, 비참한 상황에 직면한 친근한 국가에게 도움의 손을 내미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요구로 인식되었다.[논문 4]

터키 국민들의 전반적인 지지도 참전 배경 중 하나이다. 사람들의 긍정적인 반응들은 대중끼리 아무리 정치적 차이가 있어도 한국 전쟁에 참전하는 것을 끝까지 지원하는 것에 대해 동의 한 것이었다. 대중뿐만 아니라 여당과 야당의 갈등이 풀어지며 한국 전쟁에 가던 모든 터키 군인들을 위해 국회의 인사와 호의를 표하기 위한 결정이 내려졌다.[논문 5] 터키 그랜드 국회에서는 아래와 같이 뉴스를 발표했다.[논문 6] ‘’터키에서 먼 곳에 가서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다른 나라를 위해 희생해 준 모든 터키 군들을 터키 대중이 함께 응원한다. 우리는 국회의 인사와 사랑을 존중하기로 한 결정을 존중한다.‘’[기사 1]섬네일|1950년 12월에 북한의 청천강 위치에서 미군 2사단의 포위를 막으려 한 후 터키 여단원들의 움직이는 모습.|왼쪽|225x225픽셀

본격적인 터키의 참전[edit]

터키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직전인 1945년 2월 22일 대독 선전 포고를 계기로 연합군 측에 가담하고 친서방정책으로 선회한 국가다. 터키의 참전은 1950년 6월 28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한국 원조에 관한 결의문’이 채택된 이후, 7월 중순 유엔사무총장의 터키 지상군 파병 요청에 따라 터키 정부가 적극적으로 수락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터키 정부는 한국전의 긴박성을 감안해 1950년 7월 18일 군 수뇌부를 포함한 긴급 국무회의를 소집하여 1개 여단 병력을 파병하기로 결정했다. 터키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7월 25일 국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되었다. 파병이 결정되자 터키 육군은 1950년 8월 3일부로 가칭 ‘파한(派韓) 터키군’이라는 명칭 아래 참전부대 편성에 들어갔다.[6]



터키군의 참전[edit]

부대 편성[7][edit]

섬네일|300x300픽셀|한국 전쟁 당시 터키 제1여단 편성표

전투부대는 아이아스(Ayas, 앙카라 서쪽 17km)에 주둔 중인 보병 제 28사단 제 241연대(연대장 Celal Dora 대령)와 제2기갑여단 제2포병대대(대대장 Tahsin Kurtay 중령)의 장병들을 주축으로 하고 부족한 병력을 충원하는 형식을 취했다. 이와 더불어 공병, 수송, 의무, 병기, 통신부대 등을 터키 제8군단 예하 제4군관구에서 차출하여 지원부대를 편성함으로써 독립작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단 편성을 완료하였다. 그리고 9월 10일 여단장에 제2기갑여단장인 야즈즈(Tahsin Yazici) 준장이, 여단 참모장에 토케이(Selahattin Tokay) 중령이 각각 임명되었다.

터키 제1여단으로 명명된 터키군은 9월 13일까지 각 병과별로 단기간의 교육을 마친 후, 9월 14일 에티메숫(Etimesgut)에 집결하였다. 당시 여단의 총병력은 5,090명이었으며, 이들 병력은 에티메스쾨트에서 9월 19일까지 최종점검을 마친 후 열차편으로 이동해 9월 20일 지중해의 항구도시인 이스켄데룬(Iskendrun)에 도착하였다.

터키 여단은 이스켄데룬항에서 간단한 환송식을 마치고 제대별로 일정에 따라 미 수송선에 승선하였다. 제1제대(1,882명)는 9월 25일에 제네럴 맥레이(General Mcrae)호로, 제2제대(2,461명)는 26일 제너럴 하안(General W.Haan)호로, 그리고 제3제대(740명)는 29일에 프라이빗 존슨(Private Johnson)호로 각각 출항하였다. 터키 여단은 항해도중 동승한 미군교관으로부터 미제 무기의 사용법과 전술 등에 대해서 교육을 받았다. 터키 제1여단의 선발대는 21일간의 항해 끝에 10월 17일 부산항에 도착하였다. [[파일:WaltonWalker&TahsinYazici.jpg|섬네일|터키 여단 사령관 Tahsin Yazıcı가 Walton Walker 중장으로부터 은색 별을 받았다 (1950년 12월 15일).]]

한반도 진출 및 주요 작전[edit]

군우리 전투(1950.11.26 ~ 1950.12.1) - 한반도 진출[edit]

군우리 전투는 크리스마스 공세를 개시한 미 제8군이 중공군에 밀려 철수작전을 전개할 당시 터키 제1여단이 군우리-순천간 협곡지대에서 중공군 제38군 예하 제112·제113·제114사단의 집중공격을 받고 이를 돌파하기 위해 1950년 11월 29일부터 12월 1일까지 실시한 철수작전이다. 군우리 전투는 지연작전, 포위망 뚫기, 탈출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전투로 터키 여단은 적군에게 포위당한 UN군이 전멸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배경[edit]

1950년 11월 26일, 중공군의 공격으로 전세는 UN군에게 불리해졌고, 미 제8군의 우측과 후방이 적군에 포위될 수도 있었다. 미 제9군단콜터 소장은 11월 26일 15시 30분 군단 작전본부를 방문하여 그곳에 있던 터키 여단장에게 조금 전 제8군 사령관과 전화통화했다고 하며 덕천(우측 지도)을 점령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Map

그러나 이 명령 24시간 후 무선으로 전달된 명령에는 그곳의 일반적 상황과 아군들의 이동 경로와 관련된 정보는 없었다. 왜냐하면 군단 사령관 또한 당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알려진 바로는 UN군은 전략적 압박을 받았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제9군단은 터키군을 보안 병력으로 보냈던 것이다. 터키 여단은 제9군단 사령부 제2사단에 예속되었다.

미 제2사단의 사단장, 부사단장, 고급 장교 어느 누구도 제2사단에 예속한 터키군을 찾지 않았고, 터키군은 전투 상황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전달받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터키군은 한국 땅에서 치르게 될 첫 번째 전투에서 적군에 대한 어떤 정보도 없이 남겨지게 되었다.

1950년 11월 26일 18시에 이동을 시작한 정찰부대에 이어 5분 후 여단의 일부는 도보로, 일부는 전차로 이동을 시작했다. 터키군은 조양면에 자정이 넘어 도착했고, 1950년 11월 27일 3시까지 휴식을 취했다. 1950년 11월 27일 14시 30분경 미 제9단은 무전으로(여단 내 미 통신 대위 로렌조가 컨트롤하던 미 무전기로) 여단 사령부 측에 2시간가량 지연되었던 명령을 내렸다. "덕천으로 가지 말고, 어젯밤 트럭에서 내렸던 장소에서 1만 야드(9,114m) 동쪽에 머물며 길을 봉쇄하라. 청상리에 1개 연대 규모의 적군들이 있다." 이 명령에는 군단의 목적, 특히 제2사단의 상황, 한국 군단의 최근 상태에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없었다.

터키 여단 사령부는 군단으로부터 내려진 도로 봉쇄 임무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 지역은 매우 경사지고, 삼림이 무성했기 때문이다. 그 지역은 포병과 중장비 무기들을 실은 전차부대가 흩어져 방어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군단 명령에서 언급된 이 지역으로 접근 중이라던 적군 연대 또한 터키 여단에게 위협 요소였다. 이러한 이유로 여단 지휘관은 군단의 명령을 온전히 이행할 수 없었다.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한 책임을 안고 조금 더 뒤편에 있는 청면 부근으로 후퇴하여 그곳에서 군우리-덕천 길을 봉쇄하기로 결정했다.

전개[edit]
와원 전투[edit]

섬네일|355x355픽셀|군우리(와원 전투) 당시 상황 터키 여단의 후위부대 역할을 맡은 정찰대는 와원리 부근에서 1950년 11월 27일~28일 새벽 1시경 철수하던 중 산길에서 적군의 공격을 받았다. 터키군은 밤새 격전을 벌여 적군의 전진을 막았고, 여단이 전투 준비를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했다. 터키 여단은 이 교전에서 2명의 장교와 4명의 병사만이 살아 돌아왔다. 이 전투에서 터키군은 대부분 사망하거나 포로로 잡혀갔다(218명 사망, 455명 부상, 94명 실종)[논문 7]. 정찰대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던 여단 내 미 통신 대위 로렌조도 이 포로에 속해 있었다.

중공군은 와원에서 야간에 쉽게 거둔 승리의 기쁨으로 자만에 빠져 무모한 공격을 계속했다. 보초 한 명당 20~30명의 적군이 들이닥쳤다. 중공군은 승리를 확신한 나머지 항복하는 것처럼 하며 유엔군 쪽으로 걸어왔다. 그러나 승리를 확신했던 판단은 절망적인 상황으로 이어졌고 넓은 평원은 중공군들의 시체로 가득 찼다. 목숨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중공군들은 다시 공세를 가했다.

지속되는 중공군들의 공격으로 전선에서 힘의 균형이 무너졌다. 터키 여단 규모의 열 배가량 되는 중공군이 터키군을 에워쌌다. 맥아더 사령관은 작전지도에서 터키 여단을 엑스(X)자로 지웠다. 포위된 군대가 전멸의 위기에서 벗어난 일은 그 어떤 역사서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터키군 한 명당 8~10명의 적군을 죽여야만 적이 둘러싸고 있는 포위망을 뚫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UN군 총사령관은 터키 여단이 전멸한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다.[8]

한국전쟁사 문서에 따르면, 타흐신 야즈즈 장군은 위험을 제때 감지하고 필요한 조치들을 취했다. 터키 여단이 이 위협을 저지하지 못했다면 공산군들은 서해까지 들어와 신안주 비행장 지역을 점령했을 것이다.[9]

신립리 전투[edit]

중공군들에게 둘러싸인 터키 여단에 와원에서 신립리로 후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그러나 터키군은 중공군에 맹렬히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이 후퇴 명령을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페흐렌바흐 미 소령은 그의 저서에서 "시커먼 얼굴에 소총을 든 터키군들은 후퇴할 것을 거부했고, 장교들은 머리에 쓰고 있던 철모를 벗어 땅에 던졌다."라고 서술했다.

신립리로 철수하여 방어 준비를 하던 터키 여단은 1950년 11월 28일~29일 자정 무렵 신립리 마을과 그 주변에서 갑작스럽게 기관총의 공격을 받았다. 이는 터키군이 신립리에 도착하기 전 중공군이 야밤의 어둠을 이용하여 터키 여단의 제1, 제2대대가 확보하지 않은 계곡에서 조용히 전진하며 신립리까지 들어왔거나, 하루 종일 이 마을로 오는 민간인 복장을 한 피란민 행렬에 섞여 마을 혹은 그 주변에서 잠복하고 있었거나, 아니면 북쪽의 가파른 지형을 통해 몰래 숨어든 것이 분명했다.[10]

신립리 마을과 그 주변에 있던 중공군의 공격으로 터키 여단의 일부 전차와 물자들이 파괴되었다. 중공군의 갑작스러운 공격으로 당황한 일부 부대는 어둠 속에서 서로 뒤섞인 채 후퇴하기 시작했다. 터키군은 사방이 적군에게 둘러싸여 있었으나 맞서 싸웠고, 미 탱크의 공격 가세로 적군들을 피해 무사히 후퇴할 수 있었다.[11]

개천 전투[edit]
Map

1950년 11월 29일 09시경 미 보병연대와 탱크 부대가 터키 여단을 지원하기 위해 개천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이 부대는 미 제38보병연대장 지휘하에 10시경 도착했다. 터키 여단은 제38보변연대장에게 신립리 남쪽과 북서쪽에 있는 군대를 구출하기 위해 제한된 공격을 제안했다. 그러나 미 연대장은 이 공격을 할 수 없으며, 자신들의 임무는 단지 미 제2사단의 오른편을 방어하는 것이라고 했다.[12]

제38보병연대의 임무는 사실 터키 여단이 수행하고 있었다. 초기에 이 사단 그리고 미 제9단과 다른 UN군이 포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터키 여단을 덕천으로 보냈기 때문이다.

미 연대장의 부정적인 반응에 터키 여단장은 부족한 병력과 희박한 가능성에도 전방 병력 구출 작전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때 미 연대는 개천 북쪽에 있는 능선에 진지를 구축했다.

적군들의 공격으로 신립리에서 철수한 터키 여단은 개천에서 다시 한 번 적군에 대항하기 위한 방어 태세를 갖추어야 했다. 터키 여단의 철수로 개천에서는 큰 소란이 일어났다. 신립리에서 개천으로 뻗어 있는 7~8m 너비의 도로는 피란민들과 철수 중인 UN군, 군용차들로 가득 찼다. 인파들이 홍수처럼 밀려가고 있었다.

철수 중이던 군인들 중 일부는 부대에서 떨어져 나갔고, 군사들의 사기는 저하되었다. 터키 여단장 타흐신 야즈즈 장군은 약 150명 정도 군인들 사이로 들어가 "조국과 터키인들의 눈이 그 순간 터키군만 쳐다보고 있다. 필요하다면 함께 목숨을 내놓으며 국가의 명예와 영광을 지키는 것이 군인과 국가의 의무이며, 이 희생이 수백 명의 터키 형제들의 목숨과 군대를 패배에서 구할 수 있었고, 그렇지 않을 경우 공산주의자들이 승리의 축제를 열 것이다."라고 말하며 사기를 높였다.[13]

이성적으로 행동한 터키 여단장은 결정은 적중했다. 그의 이 적절한 결정으로 끊임없이 흐르는 인파는 개천에서 부분적으로 멈추었다. 무질서했던 부대는 이곳에서 재정비하며 새롭게 방어선을 만들었다. 무질서했던 부대는 이곳에서 재정비하며 새롭게 방어선을 만들었다. 제1, 제2대대는 신립리 주변에서 하룻밤 저항하고 후퇴하다 이 여단에 합류했다.[14][논문 8]

17시에 미 사단은 군용차를 가지고 와 철수하기 시작했다. 미 연대는 철수와 관련된 정보를 터키 여단에 전하지 않았다. 그래서 북쪽 방어선이 무너진 터키 여단은 또다시 홀로 남아 적군에게 양쪽으로 포위될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섬네일|384x384픽셀|청천강 전투 당시 유엔군을 공격하는 중국인민지원군|왼쪽 터키 여단은 1950년 11월 28일~29일 와원, 신립리, 개천 전투에서 이틀 동안 적군을 상대로 시간을 끌었다. 11월 27일부터 총 사흘간 얻은 이 소중한 시간으로 미 제8군은 철수할 기회를 얻었다. 터키 여단에게 주어진 원래 임무가 철수할 시간을 만드는 것이었고, 이것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15]

터키 제2, 제3보병대대는 1950년 11월 29일 17시 30분경 여단으로부터 철수 명령을 받았다. 제1대대는 후방에 남아 적군들을 상대로 시간을 벌었고, 다른 대대의 뒤를 따라 철수하기 시작했다.

일반적 상황으로 봤을 때, 군우리 지역은 여단이 적군들을 상대로 시간을 벌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 당시 제1, 제3대대는 대대장을 선두로 군우리에서 집결해 있었고, 그곳에서 명령을 기다리라는 지시를 받았다. 포병대대는 그 전에 안주 길을 통해 평양으로 갔다. 제2대대도 일부는 안주에서, 그 나머지는 순천에서 철수했다.

평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하나는 서쪽의 안주를 통해, 다른 하나는 남쪽 방향에 있는 순천 협곡을 지나야 했다. 여단장은 안주를 통하는 길이 열려 있다는 정보를 새로 입수하게 되었다.

순천 협곡은 이틀 전부터 공산군이 통제하기 시작했다. 미 제2사단이 북쪽에서, 영국 여단이 남쪽에서 가한 공격은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터키 사단은 안주 방향으로 전진하다 순천 협곡에서 잠시 정지한 후, 순천 협곡에 자리 잡은 적군을 상대로 공격을 시작했다. 미 사단가 탱크가 공격하자 협곡의 길이 열렸다.[16]

터키 사단의 공세는 이곳에서도 제 역할을 다했다. 꼼짝 못하고 있던 제2사단이 순천 협곡을 통과할 수 있게 길을 열어주었다. 터키 여단이 '군우리 전투'라고 명명한 이 싸움은 이렇게 성공적으로 끝이 났다.

터키 여단은 1950년 12월 1일 아침 무렵 평양에 도착했다. 살아 돌아 온 터키 여단의 군인들이 재회하는 장면은 매우 감동적이었기에 그곳에 있던 미군들의 눈시울을 붉게 했다.[17] 터키 군인들 모두 장교들의 손을 부여잡고 껴안고 뺨에 입을 맞추며 반가움을 표했다.

1950년 12월 2일 제9군단 지시에 따라, 가장 많은 인명 손실을 본 터키 여단과 미 제2사단은 부족한 병력을 보강하기 위해 1950년 12월 3일 개성으로 이동했다. 터키 여단은 소사리로 보내졌다.

1950년 12월 8일 군대의 손실과 피해에 관련된 상황 파악이 시작되었다. 1950년 11월 26일부터 1950년 12월 6일까지 터키 제1여단의 피해 상황은 병령 15% 손실, 무기 및 차량은 70% 손실이었다.[18]

이 전투에서 터키군이 피해를 준 적군의 사상자 규모는 약 5,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터키군과 맞선 중공군의 제38부대 규모가 약 6만 명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이런 성과를 거둔 것이다. 터키군이 철수를 도왔던 미 제2사단의 사상자는 4,849명이었다.[19] 철수 시 터키 여단의 희생으로 미 사단의 희생자 수가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결과[20][edit]

한국인들은 청천강 전투, 터키 여단은 군우리 전투라고 명명한 이 전투는 11월 25일 저녁 무렵 시작되어 12월 1일까지 밤낮으로 계속되었고, 터키 여단은 신립리, 개천 전투에서 이틀 동안 적군을 상대로 시간을 끌었다. 11월 27일부터 총 사흘간 얻은 이 소중한 시간으로 미 제8군은 철수할 수 있었다. 한국전쟁 역사상 가장 격렬하고, 파괴적인 전투가 되었다. UN군은 오른쪽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 제2군단 전선이 무너지면서 생긴 틈새를 막기 위해 보내진 터키군이 이루어낸 군우리 전투 승리는 매우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터키 여단은 '기적'을 이루어낼 것이라고 기대되어던 터였다. 속수무책인 상황에서 제9단의 얽혀버린 매듭을 푸는 임무가 터키군에게 주어진 것이었다. 한국전쟁의 모든 전투 중 중요하게 작용한 전투 중 하나가 바로 터키 여단이 참전한 '군우리 전투'이다.

금양장리 전투(1951.1.25~1951.1.27) - 동쪽 전선 후퇴[edit]

금양장리 전투김량장 전투라고도 불리며 미 제8군이 단행한 썬더볼트작전에서 미 제1군단에 배속된 터키 제1여단이 1951년 1월 25일부터 27일까지 김량장 일원에서 중공군 제50군 예하 제149사단 제447연대와 제150사단 제448연대와 치른 공격전투이다.[21]

배경[22][edit]

섬네일|355x355px|선더볼트작전(1951.01.1-11) 상황도 중공군의 대규모 인해전술 공격으로 후퇴만 하던 유엔군은 중공군의 신정공세(제3차 공세)를 저지한 후 1951년 1월 15일부로 공세로 전환하였다. 미 8군사령관 리지웨이(Methew B.Ridgeway) 중장은 중공군의 방어선 위치와 규모를 탐색하고 중동부전선에서의 적의 압력을 제거하며, 저하된 유엔군의 사기를 앙양할 목적으로 유엔군의 대규모 공세적인 위력수색작전을 지시하였다. 이 명령에 따라 유엔군은 1월 15일부터 미 제25사단에 의해 울프하운드 작전(Operation Wolfhound)이 실시되었으며, 뒤이어 1월 25일부터 각 군단별로 증강된 사단규모 이상의 병력으로 인접부대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축차적으로 반격하는 썬더볼트작전(Operation Thunderbolt)을 개시하였다.[23] 썬더볼트작전은 미 제1군단과 제9군단이 전차로 증강된 미군 1개 사단과 군단장의 판단에 따라 한국군 1개 연대를 추가로 투입하여 1월 25일에 작전을 개시하여 한강까지 수색작전을 펼치는 것이었다. 이날은 중공군의 침략으로 후퇴작전을 계속해 오던 유엔군이 재반격으로 이전하는 전환점이 되는 날이었다.[24]

미 8군사령관은 작전부대 간의 연결을 유지하고 공격제대의 안전한 진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군단지역 전방에 8km 간격으로 5개의 작전통제선을 설정하였고, 통제선 통과는 군단장에 위임하였다.[25] 그리고 작전부대에 충분한 화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미 제5공군이 25일부터 이틀 동안 근접항공지원을 최대한 보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인천 외항에 있는 미 제95기동함대의 순양함과 2척의 구축함으로부터 함포사격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각 군단의 공격제대는 최종목표인 한강을 진출하기 위하여 울프하운드 작전으로 이미 수색이 완료된 방어선 전방의 서해안-오산-여주를 연하는 공격개시선을 점령하였다.

전개[edit]

터키 제1여단은 미 제1군단 예하 제25사단의 우익으로 김량장과 151고지에 대한 공격에 나섰다. 공격개시선인 오산-송전리 선을 점령한 여단은 12km의 넓은 정면을 공격하기 위해 2개 공격 제대로 나누어 제2대대가 김량장을, 제1대대와 제3대대가 신갈 남쪽의 151고지를 공격토록 하였다.[26] 섬네일|488x488px|선더볼트작전 (1951.01.25-31) 상황도|왼쪽

제1대대 및 제3대대 주요 전개 상황[27]
날짜 시간 주요 내용
1월 25일 06시 제3대대 187고지 부근 중공군 저항에 공격 일시 중단
1월 25일 화력 집중, 백병전 끝 고지 확보 성공
1월 26일 아침 고매리 부근에서 북쪽 151고지로 접근. 중공군의 저항으로 공격 실패
1월 26일 17시 30분 제3대대 미 전차 화력지원과 백병전 끝에 151고지 점령
제2대대 주요 전개 상황[28]
날짜 시간 주요 내용
1월 25일 07시 30분 제2대대 공격개시선 통과
1월 25일 15시 김량장 서쪽 500m 지점까지 진출
1월 26일 09시 제8대대 미 전차에 분승한 채 시가지 향해 돌격 개시
1월 26일 일몰 즈음 백병전 끝에 김량장 점령
결과 및 의의[edit]

3일 간의 전투에서 확인된 중공군의 시체만도 김량장 전투에서 77명, 151고지 전투에서 397명 등 474명이었다.[29] 터키군의 노력으로 사흘이라는 시간을 얻은 미 제8군은 적군에게 포위되어 전멸될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이기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 중공군을 무지르고, 두 번째로 전세를 역전시킨 터키군의 금양장리 전투 승리는 UN군들을 놀라게 했을 뿐만 아니라, 기뻐하며 터키군의 작전에 동참하게 하였다. 금양장리 전투의 승리가 세계로 알려지자 공산진영에 속하지 않는 국가의 원수들과 대사, 의회, 각종 기관들, 저명한 인사들은 터키군의 위대한 승리에 열광하며 터키 정부를 축하했다. 터기 여단은 이 전공으로 1951년 7월 6일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 1952년 9월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부터 부대 표창을 받는 영광을 누렸다.[30]

장승천 전투(1951.4.22~1951.4.23)[edit]

섬네일|377x377픽셀|중국 춘계공세 당시의 상황도(1951. 04. 22-30) 장승천 전투는 터키 제1여단이 연천 동북방 5km 지점에 위치한 장승천 전방에서 중공군 제60군 예하 제179사단과 치른 전투이다.[31]

배경[edit]

터키 여단은 김량장 전투 이후 계속 미 제25사단에 배속되어 유엔군의 반격작전에 참여해 안산-양수리-퇴계원-포천 등을 거쳐 1951년 4월 초에 38도선 북쪽의 임진강-전곡-화천저수지-양양을 연하는 이른바 캔사스(Kansas)선까지 진출하였다. 유엔군이 방어선 보강에 주력하는 동안 공산군도 38도선 북쪽에 방어진지를 편성하는 한편, 중부전선에서 전략 전술의 요충으로 철의 삼각지대라고 명명된 평강, 철원, 김화 일대에 병력과 물자를 집결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여러 정황으로 보았을 때 공산군은 방어보다 공격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이에 미8군사령관 벤플리트(James A. Van Fleet) 중장은 중부전선의 캔사스선 방어종심을 깊게 하고 적의 공세준비를 차단할 목적으로 새로운 통제선인 와이오밍(Wyoming) 선을 설정하고 미 제1군단과 제9군단이 이 선을 점령하도록 계획하였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터키 여단은 1951년 4월 5일 와이오밍 선을 목표로 공격을 재개하여 4월 21일 장승천 부근까지 진출하였다. 그러나 4월 22일 중공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터키 여단은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고 대광리 남쪽 고지군에 급편방어 진지를 편성하였다.[32][[파일:Kapyong South Korea 1952 (AWM HOBJ3147).jpg|섬네일|329x329픽셀|춘계공세 당시 격전지였던 가평군|왼쪽]]

전개[edit]

4월 22일부터 중공군은 화천 서쪽지역에 36개 사단을 주공으로 투입하여 전 전선에서 공격을 실시하였다. 유엔군은 이러한 중공군의 춘계공세를 맞아 우세한 항공 및 포병화력과 기동력을 이용하여 적에게 최대의 출혈을 강요하면서 축차적으로 계획된 통제선을 따라 철수작전을 벌이기로 하였다. 중공군은 22일 19:00 터키 여단이 배치된 대광리 남쪽의 장승천 일대에 40분 동안 공격 준비사격을 집중하였다. 이 포격에 여단은 포병진지와 통신시설이 피해를 입어 어려움이 있었으나, 진내로 접근한 중공군 제60군 예하 179사단과 백병전을 치루는 공방전을 펼치며 주저항선을 고수하였다. 중공군은 정면공격과 병행하여 좌인접 필리핀 대대 및 우인접 미 제25사단 24연대와의 전투지경선 부근으로 1개 연개규모를 투입, 포위공격을 시도하였다. 자정 무렵 터키 여단은 한탄강 남쪽 캔사스선 진지로 철수 명령을 받았으나 침투한 중공군이 철수로상의 중요 거점인 나미현(羅尾峴)을 먼저 차단함으로써 철수하는 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이 과정에서 필리핀군의 엄호를 받으며 철수하여 피해를 경감할 수 있었다.

결과 및 의의[edit]

이 전투로 터키군은 66명의 전사자와 35명의 부상자, 실종 105명 등의 인명피해를 입었다.[33] 그러나 중공군은 터키 여단이 소속한 미 제25사단과의 전투에서 3,000명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퇴로 차단의 위험을 무릅쓰고 터키군이 주저항선에서 백병전을 펼치면서까지 적의 공격을 지연시킴으로써 우인접 부대들이 안전하게 축차진지로 철수할 수 있었다. 이후 터키 여단은 수리산, 퇴계원, 불암산, 포천, 김화 등지에서 1951년 6월 19일까지 작전을 수행한 후 서울 동북방에 위치한 퇴계원 부근의 내곡리로 이동하였다. 이로써 여단은 북진, 1·4후퇴, 반격, 중공군 춘계공세, 재반격으로 이어진 기동전으로부터 제2차 세계대전의 참호전을 재현한 진지전으로 전환하였다.[34]

터키군 여단 교대[edit]

섬네일|491x491px|터키군 참전부대 및 지휘관[35]|왼쪽

터키 여단의 활동 시기[36]
부 대 명 참전기간 비 고
터키 제1여단 1950.9~1951.8 미 제25사단 배속
터키 제2여단 1951.8~1952.8 "
터키 제3여단 1952.8~1953.9 "

제1여단과 제2여단의 교대[37][edit]

Map

터키군은 퇴계원 부근 내곡리(우측 지도)에서 부대 정비와 훈련을 하는 동안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른 제1여단을 대신해 제2여단이 임무를 교대하였다. 당시의 전선 상황은 휴전회담에 크게 영향을 받아 완전히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적정을 살피기 위해 파견된 정찰대의 충돌과 소규모의 전초진지 쟁탈전이 벌어질 뿐 참호, 철조망, 지뢰 및 은밀한 화망으로 견고한 방어진지를 구축함으로써 어느 큰 손실을 각오한 모험 없이는 적진을 돌파할 수 없는 방어선을 편성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터키 제2여단도 대규모 교전보다는 정찰 및 방어에 주안점을 두고 작전을 전개하였다. 1952년 2월 23일 서부전선의 방어 임무를 종결하고 중동부전선으로 이동해 단장의 능선 우측에서부터 가철봉 좌측까지의 진지를 점령하고 적과 대치하였다. 이곳에서 제2여단은 1952년 6월 제3여단과 교대할 때까지 적과 전초전을 벌였다. 특히 샌드백 캐슬(Sandbag Castle) 전초에서의 전투가 치열하였는데, 이 전투에서 부여단장 누리 파밀(Nuri Panmir) 대령이 전사하기도 했다.

섬네일|329x329픽셀|Sandbag Castle 전초

제1여단 및 제2여단 주요 활동[38]
날짜 내 용
1951.7.2 제2여단 제1진 인천 도착
1951.7.15 제1여단 제1진 인천 출발
1951.9.13 제2여단 제2진 인천항 도착
1951.11.16 나먹 알규취 준장, 야즈즈 준장으로부터 부대지휘권 인수
1951.11.18 제2여단 제3진 잔여병력 인천항 도착
1952.2.23 제2여단 서부전선 방어 임무 종결. 중동부 전선으로 이동

제3여단의 네바다 전초전(1953.5.28~29)[39][edit]

네바다 전초전(Battle of the Nevada Complex)은 터키 제3여단이 휴전을 앞두고 중공군 제120사단 예하 제358연대, 제360연대와 1953년 5월 28일부터 29일까지 개성시 인근 고랑포에서 치른 전투이다. 미 제1해병사단 제7해병연대로부터 작전지역을 인수받은 터키 제3여단은 아바(Ava), 카슨(Carson), 엘코(Elko), 베가스(Vegas), 베를린(Berlin), 동베를린(East Berlin) 등 7개 주요 전초를 운용하였다. 이 중 미국 네바다주의 지명을 따 명명된 카슨, 엘코, 베가스 전초는 군단의 후방지역까지 관제 관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형지물이었다. 섬네일|367x367픽셀|네바다 인근 전초 상황도(1951.03)|왼쪽

배경[edit]

시리 아카르(Sirri Acar) 준장이 지휘하는 터키 제3여단은 1952년 8월 20일부터 제2여단의 임무를 인계받아 미 제25사단의 작전통제하에 전투임무를 계속 수행하게 되었고, 1953년 5월 2일 미 제25사단이 미 제1해병사단과 작전지역을 교대함으로써 고랑포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1953년 초의 휴전회담이 포로송환 문제에 부딪쳐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을 때, 전선의 부대들은 회담 경과를 지켜보면서 소강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동안 쌍방은 1952년 말까지 계속된 치열한 고지 쟁탈전으로 조정된 전선을 정비하면서, 좀더 유리한 방어선을 확보함과 동시에 더 유리한 입장에서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였다. 이 시기에 전선의 공산군은 전력이 현저히 증강되어 중공군 135만명, 북한군 45만명 등 180만 명의 대병력이 배치돼 있었다. 또한 그들의 화력의 화력은 크게 강화됐으며 진지는 견고했고, 전투물자도 충분히 비축된 상태였다.

공산군측은 유엔군의 보복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후의 공세를 감행해 점령지역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그들이 '전쟁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했다'는 사실을 대내외에 과시하고자 했다. 또한 한국정부의 북진주장과 휴전반대운동을 잠재우기 위해 한국군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전략을 구상하였다. 이에 따라 중공군은 한국군 제2군단이 담당하고 있는 화천 북방의 금성 돌출 지역을 선정해 집중적인 공세를 감행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에 앞서 5월 27일부터 전 전선에 걸쳐 본 공세에 대한 준비 또는 본 공세를 지원하기 위한 양공이나 양동작전으로 전 전선에 걸쳐 전초전을 감행하였다. 터키 여단이 배치된 서부전선에서도 중공군 제19병단의 공격으로 격렬한 전초전이 전개되었다.

전개[edit]

섬네일|348x348픽셀|베가스(Vegas) 전초 꼭대기에 있는 참호의 미 해병. 5월 28일 밤 중공군 제46군 제120사단이 네바다고지군이라고 불리어진 베가스, 엘코, 카슨을 맹렬한 포격하에 공격을 감행하여 점령하였다. 이 때 베가스는 1개 중대, 나머지 고지는 1개 소대 규모의 전초였다. 터키 여단은 다음날 저녁까지 베가스 전초를 다섯 번이나 빼기고 빼앗는 전투를 벌여 이를 확보하였다. 카슨 전초는 상실하였고 엘코는 간신히 지탱하다가 미군에게 인계하였으나 결국 피탈 당했다. 이런 와중에 양 측 모두 많은 전투손실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인명을 아끼지 않는 중공군의 공격이 계속되자 제25사단장 윌리엄(Samuel T. Williams) 소장은 베가스 전초가 더 이상 인명손실을 감수하며 지킬 전술적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고 철수명령을 내림으로써 네바다고지군이 모두 적의 수중으로 넘어갔다. 이로써 네바다 전초진지 쟁탈전은 일단락되었다.

2일간의 전투에서 터키 여단은 7개 포병대대로부터 65,000발의 화력 지원을 받는 적 2개 연대의 공격을 저지하면서 3,000명을 살상하고 5명을 생포하였다. 반면에 여단도 전사 151명, 부상 239명에 2명이 실종되는 손실을 입었다.

네바다고지군 전투 이후 여단 정면의 상황은 소강상태에 들어갔으나 매일 3~4명의 손실이 발생하는 포격 및 정찰전은 계속되었다. 이후 여단은 7월 7일 미 제25사단이 미 제1해병사단에게 진지를 인계함에 따라 여단도 제7해병연대와 교대하고 의정부 5km 동남쪽에 있는 용현동으로 이동하여 미 제1군단의 예비가 되었다. 이곳에서 터키 제3여단은 교육훈련과 병행하여 터키 제4여단과의 축차적인 교대를 실시하였다.

참전 결과 및 이후 정세[edit]

터키군의 피해 현황[40]
구 분 전사 전상 실종 포로
육 군 총계 3,623 721 2,147 175 234
장교

하사관

157

138

3,328

37

26

658

81

66

2,000

3

1

171

6

3

225

터키군 참전의 의의[41][edit]

터키는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1개 여단을 파병하여 1956년가지 한국에 주둔 할 때까지 피로써 한국을 도와준 우방국이었다. 터키군의 파병규모 역시 여단급 부대를 파견한 3개국(영국·캐나다·터키) 중의 하나였을 정도로 큰 규모였다. 전쟁 중 터키군은 연인원 약 1만 5천명을 동원하였으며, 그중에 무려 3,545명의 고귀한 희생을 치렀다. 터키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평화적인 협상 원칙을 중시했지만 한국전쟁에는 유엔의 결의에 따라 적극 참전하였다. 그들이 보여준 용감성과 자유수호의지는 대한민국이 존립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으며 나아가 자유세계를 결속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전쟁 당시 터키군은 1951년 10월 말경 미 육군 제9군단에 배속돼 울프하운드 작전에서 경기도 김량장과 151고지 전투에서 중공군 1,900여명을 사살하는 큰 전과를 올렸으며, 이에 터키군 제1여단은 미국 대통령 부대표창(1951.7),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1952.9)을 받아 터키군의 위상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터키의 6·25전쟁 참전은 유럽 국가들이 주축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 국제사회가 자유수호와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터키의 의지를 인정했던 것이다.

터키는 전쟁 중에 입은 인명 손실은 미국, 영국에 이어 세 번째였으며,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의장대를 1971년까지 한국에 남겨두어 유엔의 평화활동을 지원하고, 제네바 정치회의 등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입장을 적극 지지함으로써 터키 여단이 전쟁에서 흘린 피의 대가가 헛되지 않게 노력하는 태도를 보였다. 한국은 터키군의 참전으로 터키인들의 강인한 국민성과 그들의 문화를 더욱 존중하고 새로이 인식하게 됨으로써 한·터키 협력시대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를 얻게 되었다. 한편 터키는 극동아시아에서의 가장 유망한 협력국을 얻음과 더불어 세계에서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밑거름을 만들었다. 터키 사람들은 요즘도 한국을 '칸카르데시' (피로 맺은 형제)라고 부르고, 한국전 참전용사나 그들의 후손들은 이름 앞에 코렐리(Koreli : 한국인)이라 표기하고 있다.

기념시설[42][edit]

섬네일|터키 앙카라에 위치한 한국공원에 있는 한국 전쟁 참전용사기념탑|507x507px|왼쪽

터키 한국 전쟁 참전 관련 기념시설
이름 내용 지역 건립일 건립자
한국공원 터키의 수도 앙카라에 있는 6.25전쟁 기념공원으로 한국전쟁 참전용사기념탑이 존재 터키 앙카라 1973년 대한민국 정부
유엔기념묘지 터키군 462구의 시신이 안치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대연4동 779-1) 1951년 유엔
유엔기념공원 1959년 터키 정부가 전몰장병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놓은 기념비 존재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대연4동 779-1) 2001년 유엔
터키군참전비 한국전쟁 당시 1개 보병여단을 파병한 터키군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기념비 경기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1974년 대한민국 국방부


섬네일|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을 찾은 터키 참전용사와 가족들|427x427px

한국 주요 인사의 참전 기념 사업 참여[43]
인 물 날 짜 주요 내용
반기문 외교장관 2004년 4월 20일 한국전 참전기념탑 방문
김종성 보훈처 차장, 백선엽 예비역 대장 2004년 터키 국방장관, 총사령관과 면담
노무현 대통령 2005년 4월 14일~17일 국립 묘지 및 한국전 참전탑 헌화. 정상회담

한국-터키 교류의 확대와 발전[44][edit]

한국과 터키는 터키의 한국전 참전을 계기로 '형제의 나라', 그리고 '혈맹의 나라'로써 강한 유대관계를 갖고 양국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터키는 언어, 생활습관 등 역사 문화적인 측면에서 한국과 많은 유사성을 갖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터키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상업적 요충지, 우수한 노동력, 유럽시장의 진출 용이성으로 한국기업에게 새로운 투자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기반하여 한국과 터키 두 나라는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국방 등 각 분야에서 긴밀한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더구나 최근 들어 양국간의 관계는 종전의 국가간의 관계중심에서 민간부분의 관계의 심화로 발전하고 있다. 정부간의 교섭과 협의가 주요 관심 대상이 되어 왔었지만 지금은 민간부문의 역할이 점차 중시되고 있다.

현대자동차, LG전자를 포함하여 15개 한국기업이 터키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매년 약 4만여 명의 한국 관광객들이 터키를 방문하고 있다. 한국과 터키는 두 나라 관계에서 보더라도 터키에 거주하는 교민, 상사 파견직원, 유학생 등 터키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생활 그 자체가 두 나라 관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방산분야에서 터키에 자주포 생산기술을 이전하고 탄약을 수출하는 등 터키가 주요 교역 상대국인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두 나라는 1957년 상호 무관부를 설치한 이래 국방장관, 합참의장, 각군 총장의 상호 방문을 지속하는 등 군사교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각주[edit]

도서[edit]

  1.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87쪽
  2.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33-34쪽
  3.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6-207쪽
  4.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33쪽
  5.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34쪽
  6.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64-65쪽
  7.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65-67쪽
  8.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4쪽
  9.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5쪽
  10.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6쪽
  11.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7쪽
  12.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7쪽
  13.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8쪽
  14.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11쪽
  15.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8쪽
  16.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7쪽
  17.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50쪽
  18.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51쪽
  19.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51쪽
  20.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48-54쪽
  21.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15쪽
  22.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82-83쪽
  23.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15쪽
  24.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58쪽
  25.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58쪽
  26.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83쪽
  27.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15-216쪽
  28.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16쪽
  29.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86쪽
  30.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86쪽
  31.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86-90쪽
  32.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17쪽
  33.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20쪽
  34.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20-221쪽
  35.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8쪽
  36.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40쪽
  37.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90-92쪽
  38.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90-92쪽
  39.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92-96쪽
  40.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40쪽
  41.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03-104쪽
  42.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04-107쪽
  43.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06-107쪽
  44.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1107-108쪽

논문[edit]

  1. ^ MUGE OCAL, 〈한국 전쟁과 터키 군의 참전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8, 27-30쪽
  2. ^ Ali Naci Karakan, The Reason of Sending Troops to Korea, Milliyet Newspaper, (28 July, 1950).
  3. ^ Rifki Salim Burcak, On Yılın Anıları 1950-1960, (Ankara: Nurol Matbaacılık, 1998), p.61-62
  4. ^ MUGE OCAL, 〈한국 전쟁과 터키 군의 참전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8, 27쪽
  5. ^ Ali Denizli, Kore Harbinde Kunuri Zaferi 26-30 Kasım 1950, (Ankara:Turhan Kitabevi, 2010). p. 111.
  6. ^ MUGE OCAL, 〈한국 전쟁과 터키 군의 참전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8, 38쪽
  7. ^ "Korean War (Kore SavaŞi)"(터키어). Turkish War Veterans Association. 2012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3일에 확인함.
  8. ^ Billy C. Mossman, Ebb and Flow, p.108.

기사[edit]

  1. ^ Journal of the Turkish Grand National Assembly, No: III (1950).

참고 문헌[edit]

도서[edit]

[참고 문헌 도서 1][참고 문헌 도서 2][참고 문헌 도서 3]

  1.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2007).《형제의 나라, 한국과 터키 : 터키군 6.25전쟁 참전사》 초판. 국가보훈처.
  2. ^ Ali Denizli, 이선미, Kore Savaşı 1950-1953, (터키인이 본 6.25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3.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손규석·조성훈·김상원(2015).《6·25전쟁과 유엔군》 초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논문[edit]

[참고 문헌 논문 1][참고 문헌 논문 2][참고 문헌 논문 3][참고 문헌 논문 4][참고 문헌 논문 5]

  1. ^ MUGE OCAL, 〈한국 전쟁과 터키 군의 참전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8
  2. ^ Ali Naci Karakan, The Reason of Sending Troops to Korea, Milliyet Newspaper, (28 July, 1950).
  3. ^ Rifki Salim Burcak, On Yılın Anıları 1950-1960, (Ankara: Nurol Matbaacılık, 1998)
  4. ^ Ali Denizli, Kore Harbinde Kunuri Zaferi 26-30 Kasım 1950, (Ankara:Turhan Kitabevi, 2010).
  5. ^ "Korean War (Kore SavaŞi)"(터키어). Turkish War Veterans Association. 2012

기사[edit]

[참고 문헌 기사 1]

  1. ^ Journal of the Turkish Grand National Assembly, No: III (1950).

User:김영훈80/sandbox/한국전쟁 기념물

분류:한국 전쟁 분류:한국 전쟁의 전투 분류:한국 전쟁 참전 부대 분류:터키의 한국 전쟁 전투 분류:터키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분류:터키 여단